팝업존 이전 슬라이드
팝업존 다음 슬라이드
1
/
해당 슬라이드는 키보드(TAB)키로 이동 후 키보드(화살표) 운용,작동 가능한 슬라이드 입니다.
팝업존 이전 슬라이드
팝업존 다음 슬라이드
1
/
오늘하루 열지않기
닫기
KR
KR
EN
검색하기
통합
검색
검색하기
사이트맵
KR
KR
EN
닫기
사회보장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스토리로 공유
네이버블로그로 공유
개념
사회보장이란 인간다운 삶을 추구하기 위한 기본적인 권리를 의미함과 동시에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제도 규범적 실천 활동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질병 · 장애 · 노령 · 실업 · 사망 등 각종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모든 국민을 보호하고 빈곤을 해소하며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및 관련 복지제도를 말한다.
법적근거
(헌법)
제34조 제1항 및 제2항에서 국민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국가의 사회복지 증진의무를 규정함으로써 사회보장제도의 법적 근간이 되고 있다.
(사회보장기본법)
제3조에서 "사회보장"의 법적 범위를 출산, 양육, 실업, 노령, 장애, 질병, 빈곤 및 사망 등의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모든 국민을 보호하고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소득·서비스를 보장하는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서비스로 규정하고 있다.
[사회보장기본법]
자세히 보기
[사회보장기본법 시행령]
자세히 보기
사회보장의 구성
사회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노인장기
요양보험
산업재해
보상보험
공공부조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사회서비스
노인복지
서비스
장애인복지
서비스
아동복지
서비스
가정복지
서비스
해외사례
뉴질랜드
세계에서 최초로 완비된 사회보장제도를 확립한 국가
1938년 완전한 사회보장법을 제정하여 영국, 호주 등에도 영향을 줌
독일
비스마르크에 의해 최초로 사회보험 실시
1883년 질병보호법, 1884년 공업재해보험법, 1889년 폐질노령 보험 입법, 1911년 국가보험법 성립
영국
베버리지 보고서(1942년)를 기초로하여 1945년부터 각종 사회보장법 제정
1948년부터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완비된 사회보장제도를 갖춤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1935년에 사회보장법 제정
사회보장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확립
참고자료 및 문헌
주요국의 사회보장 제도(보건사회연구원)